지난 20일 카카오의 주가는 사법리스크로 인해 전 거래일보다 3.58% 떨어진 3만 905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카카오 주가가 3만 원대로 하락한 것은 액면분할 전인 2020년 5월 4일 이후 3년 5개월여 만입니다. 현 상황에서 카카오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처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1. '문어발식 확장' 집착한 카카오…계열사 '통제불능' 불렀다
카카오가 창사 후 최대 위기에 처했습니다. 경영진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 논란에 사법 리스크가 더해졌습니다. 수익성도 나날이 떨어지는 모습에 업계에서는 카카오식 확장 모델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카카오 주가가 급락한 것은 사법 리스크 때문입니다. 금융감독원이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 조종’ 의혹과 관련해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전 카카오 의장(현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에게 출석을 통보한 여파입니다. 전날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CIO)가 관련 혐의로 구속된 데 이어 김 창업자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됐습니다. 금감원은 김 창업자가 배 CIO 등 시세 조종을 주도한 것으로 의심받는 실무자들로부터 내용을 보고받거나 지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카카오의 최대 약점으로 리스크 관리 체계를 꼽습니다. 리스크를 관리해야 할 경영진이 부적절한 처신으로 그룹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계열사 수를 늘려놓고 통합엔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카카오는 2017년 ‘카카오 공동체 컨센서스센터’라는 이름의 컨트롤타워를 구성했지만 유기적 협업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10월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을 땐 수습이 더뎠던 것도 ‘대응 전략 부재’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카카오의 예전 같지 않은 경쟁력이 주가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의견입니다.
2. 카카오 경영시계 멈췄다…해외사업·IPO '올스톱'
잇단 ‘시세 조작’ 논란으로 카카오가 준비 중이던 글로벌 사업들이 사실상 올스톱됐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인수 후 글로벌 콘텐츠·엔터테인먼트 시장에 본격 진출하려던 계획을 보류한 것입니다. 2019년부터 추진해 온 카카오엔터테인먼트, 2021년부터 준비해 온 카카오모빌리티 자회사 추가 기업공개(IPO)도 무기한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카카오의 경영 시계가 멈췄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주요 서비스나 사업 전개에 대한 논의가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3월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작업을 마무리한 데 따라 하반기에 카카오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SM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글로벌 콘텐츠·엔터테인먼트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었습니다. 드라마, 웹툰 등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 역량을 결합하면 시너지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많았습니다. 2025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겠다던 카카오의 목표도 달성 가능성이 불투명해진 것입니다.
카카오가 글로벌 사업에 의욕을 보여온 것은 10여 년 전부터 따라다닌 ‘내수 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나 계획하던 사업을 이어가기도 어려운 상황에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여유는 더더욱 없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3. 사상초유 위기 카카오…비상경영 초읽기
현재 수사당국은 "카카오가 사모펀드와 결탁해 SM엔터 주식을 5% 이상 대량 매집했고, 그 과정에서 시세조종을 일으켜 매수 경쟁 상대였던 하이브를 방해하는 등 비정상적인 장내 매수 행위가 벌어졌다"는 판단하에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반면 카카오 측은 "SM엔터 경영권 인수 경쟁 과정에서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합법적인 장내 매수로, 시세를 조종한 사실이 없다"라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사법 리스크'로 사상 초유의 위기 상황에 직면한 카카오가 그룹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옛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비상경영체제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SM엔터와 연계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해외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카카오가 현재 대주주로 있는 카카오뱅크 지배구조가 흔들릴 가능성도 있고, 카카오 공동체 전반에 투자 위축과 경영 공백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 등 그룹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카카오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회사 내부적으로도 계열사 전반에서 불거질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여기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카카오 CA협의체가 중심이 돼 카카오를 둘러싼 위기 상황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카카오 공동체 전반의 경영 전략을 조율·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투자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그룹 전체를 조망하는 핵심적인 사내 기구입니다.
4. 카카오 오너리스크 사례
■ 2021년 '스톡옵션 먹튀' 논란으로 자진해서 사퇴한 류영준 전 카카오페이 대표를 지난해 다시 비상근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 '경영진 먹튀'로 내려간 주가를 회복하겠다던 남궁훈 전 대표는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 사태로 물러나면서 스톡옵션을 행사해 94억 3200만 원의 차익을 챙겨 논란이 되었다.
■ 카카오 재무그룹장(부사장)이 법인카드로 1월 상당의 게임 아이템을 결제해 배임·횡령 혐의로 경찰에 고발되었다.
'투자 > 경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기사] 설 명절에 받은 홍삼세트 당근마켓에 팔 수 있다 (4) | 2024.01.18 |
---|---|
[경제기사] 광동제약 제주삼다수 매출·친환경 '두 마리 토끼' 잡았다 (2) | 2023.11.30 |
[경제기사] 중국 흑연 수출 통제 - 포스코퓨처엠과 IRA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