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분석

[기업분석] 밀리의서재: 기업정보, 주요서비스, 재무상태, 투자전망, 위험요인

반응형

밀리의서재_기업분석_로고

밀리의서재는 2016년 설립, 지난 2017년 10월 국내 최초로 월정액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선보인 독서 플랫폼 기업입니다. 도서 IP를 기반으로 오디오북, 오디오 드라마, 챗북(채팅형 독서 콘텐츠), 도슨트북과 오브제북 등 다양한 도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여 독서의 편리성과 흥미성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지니뮤직에 인수됨에 따라 KT그룹에 편입되면서 보다 풍부한 독서 콘텐츠 확산에 속도를 내었습니다. 지난 9월 코스닥 입성 첫날 '따상'으로 성공적인 흥행을 알렸습니다.

1. 회사 개요

법인명:
밀리의서재
설립일:
2016년 7월 7일
상장일:
2023년 9월 27일
자본금:
40.55 억원
주요 사업: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45 메세나폴리스 세아타워 16층
홈페이지:
www.millie.co.kr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밀리의서재는 약 15만 권의 전자책을 무제한으로 읽을 수 있는 '전자책 정기구독' 상품과 전자책 정기구독 상품에 추가로 2개월마다 한 번씩 종이책을 배송받을 수 있는 '종이책+전자책 정기구독'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밀리의 서재는 공급받은 콘텐츠에 대한 2차적 저작물(2차 콘텐츠)도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밀리의 서재가 생산하는 2차 콘텐츠는 오디오(오디오북), 영상(책 소개 및 셀럽, 저자의 낭독 영상, 오브제북, 도슨트북), 텍스트(챗북)가 있습니다. 또한 2차 콘텐츠 외에도 '밀리 오리지널' 전자책/종이책을 직접 제작(생산) 하기도 합니다. 

 

[2023년 3분기를 기준 밀리의 서재 정기구독 가격]

전자책
정기구독
월정기 9,900
앱(애플) 11,900
앱(구글) 9,900
연정기 99,000
종이책+전자책
정기구독
월정기 15,900
연정기 183,000

3. 재무 상태 및 성과

밀리의서재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46억 3500만 원, 영업이익은 32% 성장한 25억 33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6년 창립 이래 역대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한 데 이어 안정적 성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자책 구독 서비스와 기업 간 거래(B2B) 사업 모두 고르게 약진한 결과로, 월정액 전자책 구독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4. 산업 동향 및 경쟁 환경

국내 전자출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 3.7배 증가하여 4619억원의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올해에는 그 규모가 1조 원을 돌파할 거라는 예상이다.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는 인쇄 출판시장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입니다.

밀리의서재국내 전자책 시장의 시장점유율 1위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자책 구독 서비스 시장 내에서 경쟁사(교보Sam, 리디셀렉트, Yes24북클럽) 대비 보유 도서 수, 베스트셀러 보유 수, 신간 보유 수 등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누적 회원 수 역시도 640만 명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실적 성장을 견인하는 중입니다. 

5. 투자 전망과 위험 요인

밀리의서재지난 3분기 역대 최대 성과를 냈지만 주가를 움직이기엔 역부족인 모습입니다. 밀리의서재는 독서 플랫폼에서 지적재산권(IP) 확보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KT 미디어밸류체인에서 협업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오버행(잠재적 대량 매도 물량) 우려에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장 당일에는 공모가를 훌쩍 넘어 장 중 5만 7600원까지 거래됐지만, 이후 부진한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밀리의서재는 기업공개(IPO) 추진 당시부터 구주매출을 없앰으로써 시장 신뢰도를 높였지만, 예상보다 짧은 보호예수 기간으로 인한 오버행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상장 초기 행사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수량과 기관투자자 물량이 시장에 쏟아질 수 있다는 우려에 경영 성과도 가려지고 말았습니다. 밀리의서재가 참여형 IP사업, 웹소설 등 신사업 계획을 밝힌 가운데 오버행 이슈를 잠재울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응형